# OS | Linux
-
CPU 개수 확인하기# OS | Linux 2023. 9. 25. 15:51
일반적인 경우, 하이퍼스레딩에 의해 OS(윈도우, 리눅스 등)에서 코어 수가 실제 코어 수의 2배로 인식됨. 예를 들어 싱글코어는 코어 2개로, 듀얼코어는 4개로 인식 CPU 코어 전체 개수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또는 # ll -d /sys/devices/system/cpu/cpu? | wc -l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48 가상 CPU 코어 수는 48. 1 core(물리코어)당 2 thread(가상코어)이므로 따라서 물리적으로는 24 코어 물리 CPU 수 #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dmidecode -t processor | grep 'Socket Designation' Sock..
-
Thread dump# OS | Linux 2023. 8. 10. 11:03
1. 스레드란 (Thread)? 스레드(Thread)는 어떠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웹로직과 같은 WAS는 이러한 프로세스 대신에 작은 흐름 단위의 스레드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을 멀티스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처리한다. 프로세스에 비해 스레드 방식은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적은 자원으로 빠른 성능을 보장하기 때문에 대부분 WAS에서는 스레드 이해와 스레드 덤프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한다. 2. 스레드 상태 스레드를 이해하고, 스레드 덤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덤프 내용에 있는 스레드별 상태(아래 표 참조)를 이해해야 한다. 스레드 상태는 아래 다이어그램과 같다. 상태 설명 NEW 스레드는 생성되었으나, 아직 실행하지 않고 있음 RUNNABLE ..
-
OS 방화벽 관련# OS | Linux 2023. 8. 8. 15:52
방화벽 [방화벽 관련 사이트] https://slobell.com/blogs/21https://jjeongil.tistory.com/1356 방화벽 서버 시작 sudo systemctl start firewalld 서버 부팅시 방화벽 서버를 자동으로 시작 sudo systemctl enable firewalld 방화벽 상태 체크 sudo firewall-cmd --state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포트 목록을 조회 sudo firewall-cmd --list-all 포트 추가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tcp 포트 삭제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port=80..
-
-
CentOS 7 : Firewalld 비활성화, 정지하는 방법, 예제, 명령어# OS | Linux 2023. 8. 8. 14:52
FirewallD는 네트워크 연결 및 인터페이스의 신뢰 수준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완벽한 방화벽 솔루션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트래픽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CentOS 7, FirewallD는 기본 방화벽 관리 도구로 ipt 테이블을 대체합니다. 방화벽 D 서비스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테스트와 같은 경우에는 완전히 중지하거나 비활성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FirewallD on Cent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OS 7 시스템입니다. 필수 조건 sudo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 로그인했는지 확인합니다. 연결 문제가 발생하거나 방화벽을 구성하는 데 문제가 있어 방화벽을 비활성화하는 경우 centos 7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을 다른 포스팅..
-
-
리눅스_그룹 생성,그룹 조회,그룹 삭제, 계정 그룹지정, 계정명 변경# OS | Linux 2022. 12. 21. 11:32
# 그룹 생성 groupadd -r [그룹이름] # 그룹 조회 cat /etc/group # 그룹 삭제 groupdel [그룹이름] # 사용자 계정 그룹지정 usermod -G [그룹명] [사용자명] #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 gpasswd -a [사용자명] [그룹명] # 사용자의 그룹확인 groups [사용자명] # 그룹에서 사용자 제거 gpasswd -d [사용자명] [그룹명] # 그룹이름 변경 groupmod -n [그룹명] [사용자명] # 사용자 계정명 변경 usermod -l [new name] [old name]